본문 바로가기

애드테크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기초 (Programmatic Advertising) 101

https://mumbrella.com.au/dsp-ssp-dmp-work-505095

프로그래매틱 바잉이란?

사전적 의미를 일단 알아보면 광고 구매를 사람을 통해서 하는 것이 아닌 사전에 만들어진 알고리즘에 따라 디지털을 통해 판매 구매가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것을 말한다.

 

기존 방식과 무엇이 다른 걸까?

기존 방식은 매체사(Publisher)가 운영하는 애드 서버에 보관된 광고를 계약에 따라 디지털 지면에 광고를 올리는 방식이다.

 

프로그래매틱 광고 방식은

디지털 광고 지면에서 애드 익스체인지(Ad Exchange)라는 곳에 광고를 요청하고

애드 익스체인지(Ad Exchange)라는 곳은 DSP(Demand Side Platform)에게 가격 제시(Bid) 요청을 하고 

DSP(Demand Side Platform)에서는 광고주들이 사전에 요청한 조건(Who, Where, Whom 등)을 검토하여 그것을 금액으로 확산

애드 익스체인지(Ad Exchange)에 보내고 그 금액 정보를 받은 애드 익스체인지(Ad Exchange)에서는 그 가격을 검토

최종 경매 승자의 광고를 광고지면에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듯 가격을 실시간으로 주고받고 경매를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을 RTB(Real Time Bidding)이라 한다.

모든 일이 0.1초 만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프로그래매틱의 장점?

광고를 사는 광고주가 어떤 사람들에게 어디서 광고할지를 정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긴다.

매체사는 가능한 광고 지면 모두를 팔 수 있다.

소비자는 자신과 연관된 광고를 볼 수 있다.

이 모든 거래가 경매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요 공급에 따른 정확한 광고에 대한 금액 산정이 이루어진다.

이 모든 장점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광고 거래의 단점들을 개선 보완한 것이다.

 

프로그래매틱의 단점

기존 광고 거래 방식에 비해 복잡함에 따라 투명성 이슈가 발생한다.

3rd Party Cookies와 같은 개인정보 보안 이슈 발생 

자동화에 따른 디지털 광고 내에서의 사기들이 발생하고 있다. 통칭해서 Ad-Fraud라 한다. 

간단한 예로 한창 유명 BJ나 유투버들이 광고 수익 목적으로 뷰수를 조정하는 뷰봇들이 이중 하나다.